본문 바로가기
마이크로바이옴

도시 미생물 다양성 회복 프로젝트

by slime-1 2025. 8. 13.

1. 왜 도시의 미생물 다양성이 줄어드는가

도시는 깨끗하고 위생적인 환경을 목표로 발전해왔지만, 그 과정에서 자연과의 연결이 크게 단절되었습니다.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로 덮인 표면, 밀폐된 건물, 강력한 살균제 사용, 공기 필터링 시스템 등은 병원균뿐 아니라 우리에게 이로운 환경 미생물까지 제거합니다. 이로 인해 장내 미생물뿐 아니라 피부·호흡기 미생물 다양성도 줄어들어 면역 불균형, 알레르기, 대사 질환 등의 위험이 커집니다.

 

 

2. 도시에서도 가능한 ‘미생물 복원’ 아이디어

미생물 다양성 회복은 단순히 시골로 이사 가는 것이 아니라, 도시 속에서 자연과 접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서 시작됩니다. 예를 들어, 녹지 공간 확충, 옥상·벽면 정원 조성, 커뮤니티 텃밭 운영, 공원 흙길 보존 등이 있습니다. 심지어 일부 국가는 공공 놀이터에 ‘살균 처리되지 않은 안전한 흙’을 도입해 아이들의 미생물 접촉을 늘리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3. 개인이 실천할 수 있는 미생물 다양성 회복법

  • 주기적으로 자연 공간 방문 – 공원·산책로·하천 주변 걷기
  • 실내 식물·화분 관리 – 흙과의 소규모 접촉 유지
  • 발효식품 섭취 – 김치, 된장, 요구르트, 콤부차 등으로 장내 미생물 보충
  • 반려동물과 교감 – 산책·놀이를 통해 다양한 환경 미생물 접촉
  • 살균제 남용 줄이기 – 꼭 필요한 경우만 사용, 일반 청소는 물과 천연 세제로

 

4. 국내외 ‘도시형 마이크로바이옴 복원’ 사례

  • 핀란드 ‘생물다양성 놀이터 프로젝트’ – 도시 놀이터의 모래를 숲과 들판에서 채취한 흙으로 교체해, 아이들의 피부 미생물 다양성을 늘리고 면역 반응을 개선하는 효과를 확인.
  • 호주 ‘그린 옥상 프로젝트’ – 상업 건물 옥상에 토양과 자생 식물을 심어, 공기 중 미생물 다양성을 높이고 도시 열섬 효과까지 감소.
  • 한국 ‘서울시 도시농업 지원사업’ – 공동 텃밭, 옥상정원, 학교 텃밭 등 도시농업을 확산시켜 주민들이 흙과 식물, 곤충과의 접촉을 늘림.
  • 미국 ‘마이크로바이옴 친화형 공원 조성’ – 살균제를 줄이고, 지역 고유 식물종과 토양 미생물을 보존하는 공원 관리 방식 도입.

도시형 마이크로바이옴 옥상정원

5. 미생물 친화적인 도시의 미래

미생물 다양성 회복은 단순한 환경 미화가 아니라, 도시인의 면역력·정신건강·삶의 질을 지키는 핵심 전략입니다. 앞으로의 도시는 ‘제로 병원균’이 아니라 ‘균형 잡힌 미생물 생태계’를 목표로 해야 합니다. 도시 공원에 다양한 식물과 토양 생태계를 도입하고, 건물 설계에도 자연 통풍과 식물 공간을 포함하는 방식이 확산된다면, 우리는 도시에서도 건강한 미생물 환경 속에서 살 수 있습니다.